Theme Colors
Layouts
Wide Boxed
스쿠버넷 여행쇼핑몰

물고기의 부성애-임주백 박사의 물고기의 사랑이야기 열아홉 번째

임주백 박사의 물고기의 사랑이야기 열아홉 번째
물고기의 부성애
알을 돌보는 수컷 쥐노래미

열아홉 번째 사랑구경은 조금 다르게 써보려 합니다. 2015년 양의 해가 밝았습니다. 새해가 되고 또 한 살을 더 먹고 두 세 살은 더 늙으신 듯한 부모님을 보았습니다. 잠시 부모님의 사랑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사람은 부성애보다는 모성애란 말이 더 익숙합니다. 포유류는 부성애를 찾아보기 힘들지요. 새들은 어떨까요? 조류는 부성애와 모성애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고기는 부모가 자식을 거의 돌보지 않지요. 아주 드물게 자식(알)을 돌보는 종류가 있는데, 거의 대부분이 수컷이 돌봅니다. 즉 물고기는 부성애로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왜 동물에 따라 자식에 쏟는 사랑의 방식이 다를까 궁금하지 않은가요? 이런 의문은 진화생물학에서 중요한 테마의 하나입니다.

쥐노래미의 알덩어리. 색깔이 다른 것은 각각 다른 암컷이 낳은 것이다.

모든 생물은 자신의 유전자를 많이 남기려 합니다. 이 말은 자식을 많이 낳는 쪽으로 진화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여기서 자식은 성장하여 다시 자손을 낳는데 성공한 개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신의 유전자를 가진 자손을 많이 남기기 위해 암컷과 수컷은 서로 협동(결혼, 짝짓기)하지만 경쟁상대이기도 합니다. 포유류의 경우, 암컷은 정자보다 훨씬 많은 에너지가 들어가는 난자를 만듭니다. 게다가 수정된 난자를 자신의 배 속에서 키웁니다. 정자만 전달하는 수컷에 비해 암컷은 자손에게 많은 투자를 합니다. 그 수정란이 죽는다면 누가 더 손해일까요? 수컷이 자신의 정자로 수정시킨 후 돌보지 않는 것은 암컷이 돌보리란 것을 예상하기 때문입니다. 암컷이 그 수정란에 훨씬 많은 투자를 했기에 버리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자손에 대한 투자 외에 그 자식이 자신의 자손이라는 확신이 있어야 자손을 돌보게 됩니다. 암컷의 경우, 자신의 몸속에서 배란하고, 발육하기에 자신의 자손이 틀림없지요. 그러나 수컷의 경우는 그 자손이 자신의 핏줄이라는 확신이 암컷보다는 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포유류는 모성애가 일반적인 것입니다.

알을 돌보는 수컷 쥐노래미

물고기는 어떨까요? 수정란을 보호하는 것은 거의 대부분이 수컷입니다. 부착성 알을 낳는 물고기가 알을 보호하는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고기 역시 알과 정자만 비교하면 암컷이 더 투자를 많이 합니다. 그러나 알을 부착하는 장소를 만드는 것을 수컷이 합니다. 알을 붙일 암반을 깨끗이 청소하거나, 가시고기처럼 둥지를 만들지요. 그리고 그 장소를 수컷이 잘 지켜 다른 수컷이 오지 못하게 합니다. 그래서 그 수정란이 자신의 정자로 수정되었다는 것을 거의 확신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런 것을 감안하면 암컷보다 수컷이 수정란에 더 많은 투자를 한 셈이지요. 그래서 암컷보다는 수컷이 수정란을 보호하는 행동을 하는 것입니다. 이런 부성애를 바탕으로 자손을 낳을 수 있는 성공적인 자식이 많이 생길 수 있는 것입니다.

새들백 아네모네피쉬와 알

혹시 여러분 중 어떤 분은 “여러 가지 조합이 있을 수 있는데, 왜 하필 이런 조합이 대부분인가?” 하고 질문할 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암컷이 둥지도 짓고, 알을 보호하는 경우도 있었으리라 상상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은 ‘우연’이란 것입니다. 여러 가지 조합 중 우연히 수컷이 둥지를 짓고 알을 보호하는 조합이 많은 자손을 남기게 된 것입니다. 만약 시간을 되돌려 그 시대로 다시 간다면 지금처럼 된다는 보장이 없는 것입니다. 그 자손들의 유전자에는 그런 방식이 저장되어, 지금의 물고기 세계에서 우월한 존재가 된 것입니다. 생물의 세계에서 한 번 대세가 되면, 환경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는 이상 보통 그대로 유지됩니다.

담셀피쉬가 지키는 알을 공격하는 나비고기와 놀래기 무리

어쨌든 어떤 개체가 성공적으로 성장하는 데는 부모의 사랑이 큰 힘이 됩니다. 새해를 맞아 부모님의 사랑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임주백
해양생물학 박사
어류행동생태학 전공
(주)제주오션


  • 이전글 스쿠버 다이빙은 얼마나 안전한가?-국내 다이빙 사고와 DAN의 연간 다이빙 보고서를보며..
  • 다음글 DAN AP Q&A 잠수의학-다이빙할 때 물을 얼마나 많이 마셔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