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me Colors
Layouts
Wide Boxed
탑 마레스 광고

바다의 어머니-해조류

바다의 어머니해조류 바다의 어머니-해조류 I : 녹조류해양생물 이야기를 기고하고 있는 필자는 사실 대학에서 해조류를 전공하였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해조류를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기술하며 이름을 붙이고, 이들간의 관계를 밝히며, 서식지에 관한 연구 등을 수행하는 “해조류 분류학”을 전공하였다. 그러나 정작 다이버들을 위해서는 해조류 외의 다른 주제로 글을 써왔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대부분의 다이버들이 흥미가 없을 것이라고 단정한 필자의 우매...

Read More


임주백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흰동가리의 사랑

임주백 박사의 물고기 이야기흰동가리의 사랑 일곱 번째 사랑구경의 대상은 흰동가리입니다. 흰동가리는 농어목의 자리돔과에 속하는 물고기로 서쪽으로는 인도양 아라비아 해의 오만에서부터 중서부태평양의 멜라네시아까지, 남쪽으로는 오스트레일리아 동서해안, 북으로는 일본 남부의 넓은 해역에 살고 있습니다.흰동가리는 강력한 숫컷이 무리를 이끈다최근에 온난화의 영향으로 제주도 문섬 주위에서 흰동가리를 볼 수 있고, 산란, 부화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흰동가...

Read More


DAN AP Q&A 잠수의학-다이빙 프로파일

DAN AP Q&A  잠수의학다이빙 프로파일질문: 최근의 남태평양 리버보드 트립에서 다이빙 프로파일과 관련해서 좀 비정상적인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오전 브리핑에서 두 번째 다이빙은 수심 27m의 짦은 굴을 통과하게 될 것이라 했고, 이 때문에 첫 다이빙에서는 모두들 33m까지는 가야 한다고 다이브 마스터가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 수심에는 볼 것이 없었지만 '깊은 수심 우선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는 단순한 목적 때문이었습니다. 이 권장 사...

Read More


김기자, 100m를 가다

      김기자, 100m를 가다 Part1"김기자, 100m를 가다 "Part 1. 100m에 대한 다이버들의 네 가지 질문과 대답 본 기자는 지난 12월 8일에서 13일까지 필리핀 아닐라오 SM 스쿠버 리조트에서 TDI 본부의 성재원 사무국장이 주관한 ERD(익스텐디드 레인지 다이빙), Trimix, Advanced Trimix 과정에 참가하여 교육을 받고 100m 다이빙을 무사히 마쳤다. ...

Read More


다이빙 안전 캠페인-아직도 SMB가 없으신가요?

다이빙 안전 캠페인아직도 SMB가 없으신가요?SMB를 사용하자! SMB or DSMBSurface Marker Buoy or Delayed Surface Marker Buoy. 최근 SMB는 다이버들의 필수 안전장비로 인식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다이버들이 SMB를 꼭 휴대해야 한다고 법으로 정해놓은 곳도 있다. 몰디브의 리버보드에서는 모든 다이버들이 다이브컴퓨터와 함께 SMB 를 휴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SMB가 무엇이...

Read More